분류 전체보기 40

응급지혈거즈 (Emergency Hemostatic Gauze)

전술적전투부상자처치(Tactical Combat Casualty Care, 이하 TC3)는 전투 중 또는 전술적 과업 중 발생한 부상자에게 신속한 처치와 평가를 제공하는 처치술이다. TC3에서 제공하는 처치술은 다양하지만, 이번에는 출혈을 통제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출혈을 통제하는 방법은 발생한 부위에 따라 처치법이 상이하다.응급지혈거즈 소개해부학적으로 지혈대의 적용이 가능한 위치(Anatomically amenable to tourniquet use), 즉 팔과 다리에는 전술적전투부상자처치위원회(CoTCCC)에서 권장하는 사지 지혈대를 적용한다. 그러나 지혈대의 적용이 불가능한 부위, 예를 들어 목, 서혜부, 겨드랑이 등 접합부에는 응급지혈거즈를 이용해 출혈을 통제한다. 응급지혈거즈는 지혈..

TCCC/References 2024.12.18

흑사병: 정말 몽골군은 페스트균에 감염된 시체를 투척했을까?

이리저리 자료를 찾다 보니 재미있는 것들이 있어 공유함 대한의사학회 제30권 제3호 (통권 제69호), 2021년 12월흑사병의 서유럽 전파에 관한 오해와 왜곡: 무시스의 기록을 중심으로남종국,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양 중세사 전공)DOI: 10.13081/kjmh.2021.30.465    페스트균의 무기화 관련 역사를 찾다보면 흔히 발견하는 것이, 1346년 몽골군이 제노바 상인들이 점유한 카파 항구를 포위하는 과정에서 페스트균에 감염된 시체를 공성무기로 투척했다는 것일 것이다. 이 기록은 1448년 제노바 출신의 역사가 가브리엘레 데 무시스 (Gabriele de Mussis)가 기록한 《Historia de Morbo sive Mortalitate quae fuit Anno Domini ..

CBRNe/References 2024.12.18

페스트균 Yernisia pestis 2부

이전 글 → 2024.12.17 - [CBRNe/References] - 페스트균 Yersinia pestis 1부페스트균의 무기화페스트균(Yersinia pestis)은 높은 전염성과 치명률로 인해 생물학적 무기로 활용될 가능성이 오래전부터 제기되었다. 실제로 역사적으로 페스트균은 군사적 또는 테러 목적으로 사용된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현대 보건 및 안보 정책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역사적 사례이탈리아의 역사가 가브리엘레 데 무시스(Gabriele de Mussis)의 저술 중에는 중세 시대, 몽골군이 1346년 크림 반도의 카파(Caffa, 현재의 페오도시아)에서 일어난 전투에서 페스트균에 감염된 시체를 공성전에서 투석기로 적의 요새에 던지는 방식으로 병원체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참고: 남종..

CBRNe/References 2024.12.17

페스트균 Yersinia pestis 1부

요약페스트균(Yersinia pestis)은 그람 음성 간균으로서 고대부터 현대까지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 병원체이다. 이 균은 흑사병(Black Death)으로 알려진 중세 유럽 대유행을 비롯해 여러 차례 대규모 전염병의 원인이 되었으며, 벼룩을 매개체로 설치류에서 인간으로 전파된다. 현대 의학에서는 페스트를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개발되었으나, 감염 예방과 신속한 대응이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최근에는 생물학적 무기화 가능성으로 인해 페스트균에 대한 연구와 관리는 보건 및 안보 측면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관련된 역사페스트균(Yersinia pestis)은 인류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전염병 중 하나인 흑사병(Black Death)을 일으킨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흑사병은 1..

CBRNe/References 2024.12.17

[번역] 2001년 미국 생물테러 관련 탄저병 조사: 역학적 발견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Volume 8, Number 10, Pages 1019-10282001년 미국 생물테러 관련 탄저병 조사: 역학적 발견Investigation of Bioterrorism Related Anthrax, United States, 2001: Epidemiologic Fidings  요약2001년 10월, 플로리다의 한 언론사 직원에게서 1976년 이후 처음으로 흡입성 탄저병 사례가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Bacillus anthracis(탄저균)에 의한 추가 감염 사례를 확인하고 가능한 노출 경로를 조사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조사가 시작되었다. 의료 시설, 실험실, 기타 경로를 통해 감시를 강화하여 사례를 확인하고, 실험실에서 Bacillus anth..

CBRNe/Documents 2024.12.15

탄저 Anthrax

더보기질병관리청 병원체생물안전정보 작성일: 2019년 5월 30일최종 수정일: 2023년 7월 28일담당부서: 생물안전평가과연락처: 043-719-8044 (세균) Bacillus anthracis  ID#1792, CDC위험군 : 제3위험군국내범주: 고위험병원체, 생물작용제, 전략물자통제병원체특성: Bacillaceae과, 그람 양성(POS-Gram), 막대균, 운동성 없음, 협막을 가짐, 불리한 환경조건에서 포자 형성병원성 및 감염증상잠복기 : 1~7일(호흡기 탄저의 경우 최대 60일)(출처 : 2018 Yellow Book. CDC. US.)탄저를 유발하며, 감염경로에 따라 임상증상이 나타남.피부탄저:피부 발진 및 수포가 형성된 후 병변이 전신으로 퍼짐.호흡기탄저: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다가 심한..

CBRNe/References 2024.12.15

[번역] 전장에서 출혈 통제를 위한 지혈대 사용: 4년간의 누적 경험에 기반하여

저자 정보더보기Dror Lakstein, MDAmir Blumenfeld, MDTali Sokolov, MDGuy Lin, MDRoni Bssorai, MDMauricio Lynn, MDRon Ben-Abraham, MD  The Journal of TRAUMA Volume 54, Number 5, Pages 221-225전장에서 출혈 통제를 위한 지혈대 사용: 4년간의 누적 경험에 기반하여Tourniquets for hemorrhage Control on the Battlefield: A 4-Year Accumulated Experience  연구 배경지혈대 적용은 군의 병원 전 단계에서 출혈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ourniquet application is a known means for ..

TCCC/References 2024.12.14

[번역] 병원 전 단계에서 승압제 투여가 전투 부상자의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음에 관하여

저자 정보더보기Andrew D. Fisher, MOAS, PA-CMichael D. April, MD, DPhilCord Cunningham, MD, MPHSteven G. Schauer, DO, MS Prehospital Emergency Care Volume 25, 2021 - Issue 2th, Pages 268-273병원 전 단계에서 승압제 투여가 전투 부상자의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음에 관하여Prehospital vasopressor use is associated with worse mortality in combat wounded 개요승압제는 출혈성 쇼크로 인한 저혈압을 관리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저혈압 외상 환자에서의 사용에 대한 데이터는 거의 없으며, 그 사용은 논란의 여지가 ..

TCCC/References 2024.12.13

[참고] 피부주름두께 측정을 통한 성인의 둔부 근육주사 바늘의 최적 길이 예측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6호, 2010년 12월Prediction of Optimal Gluteal Intramuscular Needle Length by Skinfold Thickness Measurements in Korean Adults   저자:최동원 적십자대학교 간호대학 조교수송경애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교수김범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교수연구 목적둔부 IM 주사 시 피하지방 두께를 고려하여 근육에 도달하는 최적 바늘 길이를 예측.성별, BMI에 따른 피부주름두께와 초음파로 측정한 피하지방 두께의 관계를 분석.주요 결과피하지방 두께와 피부주름두께의 관계피부주름두께는 피하지방 두께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나타남.회귀 분석을 통해 피부주름두께와 피하지방 두께 간의 상관관계를 확..

CBRNe/Documents 2024.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