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 후송 호출 시 보고 양식에 관하여 (9-Line MEDEVAC, MIST) - 01

9-Line MEDEVAC : 전술 상황에서 사상자 발생 시 후송 유닛을 호출하기 위한 보고문으로, 9개 항목으로 구성된다. 

MIST: 손상 메커니즘, 부상 상세, 활력 징후 및 증상, 현장 처치 사항을 보고하는 양식. 통상 9-Line MEDEVAC 이후 전달된다.


보고 양식

9-Line MEDEVAC Request

[NO. 17-13] Tactical Combat Casualty Care, Ver. 5th (2017-05). Appendix E, Fig E-1.

 

9-Line MEDEVAC은 전술 상황에서 발생한 사상자를 후송하기 위한 후송 자산을 호출하기 위한 보고의 일종으로, 전체적으로 9가지 항목에 관한 사실을 전달하므로 9-Line으로 명명된다. 이를 통해 의무 요원은 후송 출발 (또는 현장 도착) 전에 사상자의 양상을 확인하고 적절히 준비할 수 있다.

 

각 라인은 다음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다.

  1. 후송 지점(PZ) 위치 및 좌표
  2. 통신 주파수 및 호출 부호
  3. 사상자 후송 우선순위
  4. 후송 간 필요 특수 장비
  5. 사상자 유형
  6. 후송 지점 위협 수준
  7. 후송 지점 식별 방법
  8. 후송 사상자 국적 및 신분
  9. 후송 지점의 핵 및 화생방 위협 요소 존재 여부 및 지형 정보

자, 그러면 하나씩 알아보도록 합시다.


라인 1. 좌표 (Location of pickup site)

  • 후송 지점의 좌표는 보안 회선을 통해 전송하여야 한다. 
  •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좌표 영역 문자가 요청문에 포함된다.
  • 전술 지도나 항법 장치, 6 계단 군사좌표체계 중 1택.

라인 2. 통신 주파수 및 호출 부호 (Radio freq, Call-sign, and Suffix)

  • 통신 주파수 및 호출 부호를 전달한다. 
  • 자동통신체계(통제성) 또는 기타 승인된 통신 수단으로 전달.

라인 3. 사상자 후송 우선순위 (Number of casualties by precedence)

  • 사상자의 후송 우선순위와 해당 인원 수량을 전달한다. 최우선 순위를 우선적으로 전달할 것.
  •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카테고리를 한 번의 MEDEVAC 요청에 포함시킬 때에는 각 카테고리 사이에 단어 'BREAK'를 삽입.
    • A = 긴급 (Urgent); 생명, 사지 손상 또는 안구 손상자. 중증 합병증 및 영구 장애 예방을 위해 최대 1시간 이내 요대피 인원에 해당.
    • B = 긴급; 외과술 要 (Urgent-Surgical); 긴급에 해당하나, 추가로 외과적 개입이 요구되는 인원에 해당.
    • C = 응급 (Priority); 4시간 이내 요대피 인원에 해당. 또는 긴급으로 분류될 수 있는 (악화할 수 있는) 인원, 요구되는 처치를 현장에서 제공할 수 없는 경우, 불필요 통증 또는 장애를 겪는 인원에 해당.
    • D = 비응급 (Routine); 후송이 필요하지만 상태가 크게 악화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인원에 해당. 이 범주에 속하는 인원은 24시간 이내 현장 이탈이 요구됨.
    • E = 일반 (Convenience): 의무 자산에 의한 후송이 필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편의적 문제인 인원에 해당.

NATO STANAG 3204에서는 일반 순위가 제외되었으나, 작전 환경에서 요구되므로 여전히 미 육군 후송 우선순위에 포함. (ATP 4-02.2)

라인 4. 후송 간 필요 특수 장비 (Special equipment required)

  • 후송 간 필요 특수 장비를 요청한다. 본인 팀의 현재 전술 상황을 고려하여 요청할 것.
    • A = 없음 (None)
    • B = 호이스트 (Hoist)
    • C = 탈출용 장비 (Extraction)
    • D = 호흡보조기구 (Ventilator)
  • 호이스트는 헬기 측면에 장착하여 운용하는 인명 구출용 버켓을 의미한다. 영화 '해운대' 클라이맥스에서 구급대원과 요구조자가 매달려있던 그것(과 유사한 종류)
  • 탈출용 장비란 말 그대로 현장 탈출용 장비를 말한다. 절단기, 소방 개척 도구, 오함마 등 현장을 이탈하기 위한 도구 전체를 의미.
  • 호흡보조기구의 경우, 산소 투여가 긴급히 필요한 인원 등이 있다면 요청하자.
  • 한미연합훈련 때 만났던 PJ 말로는, 이때 부족한 토니켓을 채워달라고 부탁하는 것도 적절할 수 있다고 했다. (기타 의무용품도 적절)

라인 5. 사상자 유형 (Number of casualties by type)

  • 들것이 필요한 사상자가 있다면 요청하면 된다. 정확히는, 이미 들것이 적용된 사상자를 제외하고 추가 들것이 필요하다면 요청한다. (필요 들것 개수도 요청해야 한다.)
  • 두 가지 이상의 유형에 대한 후송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전달하되, 각 유형 사이에 단어 'BREAK'를 삽입할 것.
    • L = 들것 필요 (Litter)
    • A = 도보 가능 (Ambulatory)
Line 5. 2-lima, 1-alfa.

라인 6. 후송 지점 위협 수준 (Security of pickup site)

  • [전시] 후송 지점 또는 착륙 지점 (어차피 같은 말임)에 존재하는 적 위협 수준을 전달한다. 
    • N =  후송 지역 내 적 위협 없음 (No enemy troops in area)
    • P = 후송 지역 내 적정 존재 가능성 있음 (Possible enemy troops)
    • E = 후송 지역 내 적정 존재함. 접근 주의 (Enemy troops in area, approach with caution) 
    • X = 후송 지역 내 적정 존재함. 무장 호위 필요 (Enemy troops in area, armed escort required)
  • [평시] 부상 및 손상, 질병의 유형과 인원 수량을 전달한다.
    • 유형별 사상자 부상(총상 또는 파편상)에 대한 구체적 정보. 인지한 경우 사상자 혈액형과 함께 심각한 출혈을 보고.

라인 7. 후송 지점 식별 방법 (Method of marking pickup site)

  • 후송 지점을 표기하는 방법을 통신 협조한다. 정확하게 말하면, 후송 자산 운전 인원으로 하여금 후송 지점을 어떻게 인식하게 할 것인지 전달하여야 한다. 
    • A = 피아식별판 (Panels)
    • B = 발광 신호 (Pyrotechnic signal); 신호봉이 될 수도 있고, 케미라이트가 될 수도 있고.
    • C = 연막 신호 (Smoke signal); 앞서 말했듯, 적정 감청으로 오인 식별 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 D = 표기 없음 (None); 표기할 수단이 없는 경우에 해당.
    • E = 기타 표기 방법 (Other); 상기 외 수단이 있다면 선택
  • 다만, 감청의 위험이 있으므로 후송 자산이 해 지역에 도달하고 나서 표기 방법을 전달하여야 할 필요가 있겠다.
    • MEDEVAC (DUSTOFF 또는 다른 무언가) 자산이 전달된 좌표에 도달 → 이후 현장과 통신하여 피아식별.

라인 8. 후송 사상자 국적 및 신분 (Casualty nationality and status)

  • 후송할 사상자들의 국적과 신분을 전달하여야 한다.
    • A = 미군 (U.S. Mil)
    • B = 미국 시민 (U.S. Civ)
    • C = 미군 아님 (Non-U.S. Mil)
    • D = 미국 시민 아님 (Non-U.S. Civ)
    • E = 적국, 적정; 전쟁 포로 (Enemy Prisoner of War, EPW)
  • 미군에서 만들어지고 쓰이는 양식이기 때문에, 미군이냐 아니냐를 논하게 된다.
    • 한국군의 경우는 C, 한국 국민의 경우는 D에 해당한다.
  • 후송 목적지 시설의 경계 병력 배치 등을 지원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항이다. 지원 요청 부서는 후송 지점에 영어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ATP 4-02.2, 2019-07-12)

라인 9. 후송 지점의 핵 및 화생방 위협 요소 존재 여부 및 지형 정보 (CBRNe contamination or terrain description)

  • [전시] 후송 지점의 핵 및 화생방 위험 여부를 전달.
    • C = 화학작용제 오염 (Chemical)
    • B = 생물학작용제 오염 (Biological)
    • R = 방사능 오염 (Radiological)
    • N = 핵 무기 (Nuclear)
  • [평시] 후송 지점 지형 설명을 전달.
    • 후송 지점(LZ)의 주변 지형에 대한 세부 정보.
    • 가능한 경우, 부지 및 식별에 용이한 사항도 전달. (호수, 산, 구조물 등)

MIST Report

MIST는 9-Line과 함께/별도로 제공되는 사상자 상태 보고 양식이다. MEDEVAC 중 사상자의 응급 상황을 명확히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MIST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M - 손상 기전 (Mechanical of Injury)

  • 손상 원인을 기록하고, (알고 있다면) 손상 발생 시각을 기록한다.
  • 예) IED, GSW, 낙상 등.

I - 손상 유형 (Injury Sustained)

  • 손상 부위 및 유형을 기록한다.
  • 예) 양측 대퇴부 관통상, 흉부 열상 등

S - 생체 징후 및 증상 (Vital Sign and Symptoms)

  • 예: BP 90/60, HR 120, RR 24, GCS 12, 의식 있으나 불명확 (conscious but disoriented)

T - 현장 처치 사항 기록 (Treatment Given)

  • 현장에서 제공한 처치 사항에 대하여 작성한다. 
  • 예: CAT TQ x2, TXA 1g IV, Chest seal (L), NPA (L) 등

자, 그런데 뭔가 익숙하지 않은가?

맞다. MIST는 TCCC 사상자 처치 카드인 DD Form 1380에서도 작성된다. 

 

통상 MEDEVAC을 요청하는 사람은 팀 내 의무 주특기 (예: 68W) 이므로, 9-Line을 작성하고 의무 후송 PJ에게 전달하는 과정 중에 MIST를 가능한 자세히 기록하여 적절히 인계할 수 있다. 뭐, 본인이 68W 또는 PJ는 아닌데도 관련 사항에 해박하다면야 본인이 작성해도 무관하다.

 

물론, 보통 MIST는 DD Form 1380에 작성하고, 9-Line은 의무 자산 요청할 때만 쓰긴 하지만...

 

다음 글에서는 9-Line 연습 예문 및 평가표를 만들어서 연습을 해보고자 한다.


기타 사항

미군의 MEDEVAC 체계

  • 미군은 평시 일반 훈련 중에도 MEDEVAC을 적극 활용함.
    • 전투 경험이 풍부하며, ‘훈련대로 전투하고, 전투하는 것처럼 훈련하는’ 문화를 갖고 있음.
    • 한미연합훈련 시 확인된 사실:
      • 9-Line 전체가 아닌, 최소 라인 5까지만 불러도 의무후송팀 출동 가능
        • DUSTOFF(항공의무지원팀)은 상시 대기 중
          1. 라인 1~2: 후송 요청이 들어오면 즉시 이륙 준비
          2. 라인 3~5: 환자 유형과 필요 장비 전달되면 즉시 이륙
          3. 라인 5까지 전달되면 이미 후송 자산은 출발한 상태
            이후 라인 6~9는 후속 통신으로 조율하며 후송 진행

한국군의 MEDEVAC 체계

  • 평시 후송 요청 절차
    1. 국군의무사령부 의료종합상황센터 애플리케이션을 휴대폰에 다운로드 (iOS / Android)
    2. 앱 실행 (입장 코드 입력 要) 후 6가지 옵션 중 하나 선택하여 연락
      • 응급전화: 센터 연결 → 응급조치 및 후송 상담
      • 영상통화: 군의관 실시간 의료지도
      • 문자상담: 문자 및 사진/영상 전송
      • 위치전송: 위도, 경도, 주소 등 현장 위치 전달
      • 사진촬영: 자동 촬영 후 문자로 전송
      • 응급실: 군 병원 응급실 연결
  • 국군의무사령부 의료종합상황센터
    • 군 응급환자 발생 시 119 상황센터 역할 수행
    • 24시간 365일 대응 체계
    • One-Stop 응급환자지원 체계
      1. 신고 접수
      2. 영상의료지도
      3. 후송 판단 및 시행
      4. 병원 도착 및 경과 관찰

 

참고: 9-Line MEDEVAC Request에는 MIST Report 내용도 포함된다. 9-Line은 여러 명의 사상자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것과 반대로, MIST 보고문은 사상자 한 명당 하나씩 작성한다. 

 

즉, 9-Line MEDEVAC은 '언제, 어디서, 몇 명을, 어떻게 후송할 것인가'를 말해주는 운영 지시서이고, MIST는 '각 사상자의 상태를 상세히 말해주는 의료 정보 보고서'라고 보면 되겠다.

 

관련 문서 및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