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RNe/UXO

MINE "지뢰에 대하여"

MTBE 2024. 11. 18. 06:07

개요

지뢰는 지면 또는 지하에 매설하거나 은폐하여 외부 압력 등에 의해 뇌관이 작동하면서 폭발하도록 설계된 무기의 일종이다. 주로 인마 살상, 무력화를 목적으로 하며, 작동한 지뢰는 이를 유발한 사람뿐 아니라 주변 인원, 장비, 차량, 전차 등을 표적으로 삼는다.

 

대인 지뢰의 사용, 비축, 생산, 이전을 금지하고 이를 폐기하기 위한 대인 지뢰 금지 협약(Convention on the Prohibition of the Use, Stockpiling, Production and Transfer of Anti-Personnel Mines and on their Destruction), 일명 오타와 조약(Ottawa Treaty)에서는 지뢰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지면 또는 기타 표면적 아래, 위 또는 근처에 배치되어, 사람이나 차량의 존재, 근접 또는 접촉에 의해 폭발하도록 설계된 탄약. (a munition designed to be placed under, on or near the ground or other surface area and to be exploded by the presence, proximity or contact of a person or a vehicle)” - Article 6, No. 2

 

지뢰는 무차별적 살상 무기로서의 성격 때문에 지속적인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분쟁 종료 후에도 오랫동안 잔존하여 민간인과 지역 사회에 심각한 피해를 끼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국제 지뢰 금지 운동(International Campaign to Ban Landmines, ICBL)을 통해 지뢰 금지에 대한 압박이 이어졌고, 이는 1997년 오타와 조약의 체결로 결실을 맺었다. 현재까지 164개국이 이 조약에 서명했으나, 미국, 러시아,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은 서명하지 않았다.

 

 

지뢰의 역사

과거

11세기 송나라의 무경총요(武經總要)에서는 화약에 대한 최초의 기록을 찾을 수 있다. 이미 10세기 중국은 유황, , 질산칼륨(초석) 등을 혼합하여 화약을 생산하고, 이를 이용해 화전, 대포, 화창 등의 무기를 제작하여 운용했다. 13세기 몽골 제국의 정복 전쟁을 계기로 화약에 대한 지식은 아시아와 유럽 전역으로 빠르게 퍼졌으며, 중동에서는 하산 알 마라의 논문(1240~1280), 유럽에서는 로저 베이컨의 대서(Opus Majus)에서 등장하게 된다.

 

14세기의 군사 저술인 화룡경(華龍京)에는 속이 빈 주철 대포알에 화약을 채운 대포가 묘사되어 있다. 무기의 심지는 단단한 나무로 제작되었으며, 대포 점화공에 대한 연결이 불량할 경우, 세 개의 다른 도화선(퓨즈)을 운반해야 했다. 이 도화선은 길이가 길고 손으로 불을 붙였기 때문에, 적의 움직임을 신중하게 계산하여 타이밍을 맞추는 것이 중요했다.

 

1573년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중국인이 최초의 압력식 지뢰를 발명한 지 3세기가 지난 후, 독일의 군사 기술자 사무엘 짐머만은 비행 지뢰, 플래더마인을 발명했다. 이는 표면 근처에 묻혀 있는 수 파운드의 흑색 화약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를 밟거나 부싯돌에 불을 붙인 와이어에 걸려 넘어지면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지뢰는 요새 앞 경사면에 배치되었고,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중에 사용되었지만, 부싯돌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효과적이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장치인 Fougasse는 현대 파편 지뢰와 클레이모어 지뢰의 선구자 격이다. 그것은 바닥에 화약이 있는 원뿔 모양의 구멍으로 구성되었고, 바위나 고철 또는 대형 흑색 화약 수류탄 등으로 덮여 있었다. 이를 표면의 인계철선에 연결된 부싯돌로 촉발했다. Fougasse는 때때로 많은 사상자를 초래할 수 있었으며, 흑색 화약이 습기에 취약하여 높은 유지 관리가 필요했다. 결과적으로, Fougasse는 주요 요새 방어에 주로 사용되었고, 18세기 유럽 전쟁과 미국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초기 지뢰의 주요 한계 중 하나는 신뢰할 수 없는 퓨즈와 습기에 민감하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문제는 안전 퓨즈의 발명으로 해결되었고, 이후 전기가 도입되면서, 퓨즈가 타버릴 때까지 기다리는 대신 즉시 폭발시킬 수 있는 기능이 가능해졌다. 전선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스파크로서 점화를 일으킨다. 러시아는 1828~1829년 러시아-터키 전쟁에서 이 기술을 처음 사용했다고 주장하며, 1960년대 클레이모어로 대체될 때까지 Fougasse는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1차 세계대전기

1차 세계 대전 무렵, 지뢰가 폭발하여 약 1,000개의 파편으로 분열되고, 주위로 빠른 속도로 퍼졌다는 사실은 지뢰의 위력이 커지고 있다는 한 가지 징후이다. 프랑스-프로이센 전쟁(1870)에서는 파편이 20~30개에 불과했지만, 기관총, 철조망, 속사포가 훨씬 더 효과적인 방어 수단으로 운용되었기 때문에, 대인 지뢰는 전쟁에서 큰 역할을 하지는 않았다.

 

전쟁이 끝날 무렵, 영국군은 참호 방어선을 뚫기 위해 탱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독일군은 대전차포와 지뢰로 대응했다. 급조된 지뢰는 포목으로 채워진 나무 상자로 구성된 대량 생산형 지뢰로 바뀌었고, 지뢰밭은 대량의 탱크가 진격하는 것을 방어하기 위해 표준화되었다.

 

세계 대전 사이, 미래의 연합국은 지뢰에 대한 개발을 거의 하지 않았지만, 독일은 일련의 대전차 지뢰인 텔레마인(Tellermine)을 개발했다. 또한 슈라프넬 지뢰(S-지뢰)도 개발되었는데, 이는 뇌관이 작동하면 허리 높이까지 도약하여 폭발하면서 수천 개의 쇠구슬이 사방으로 날아가는 방식이었다. 이 지뢰는 압력, 인계철선, 또는 전자적 장치로 격발되며, 261내에 있는 인원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었다.

 

2차 세계대전기

2차 세계 대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수천만 개의 지뢰가 매설되었다. 그중 하나의 예는 핀란드가 소련군의 대규모 기갑부대를 방어하기 위해 그들의 방어선인 만네르하임 선(Mannerheim Line)에 파편 지뢰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지뢰를 설치한 사례다. 이 방어선은 6,000여 대의 탱크로 무장한 소련군에 맞서 효과적인 방어를 제공했다.

 

1942년의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는 독일군이 전장 전체를 가로지르는 두 개의 지뢰밭에 약 50만 개의 지뢰를 매설하며 연합군의 공격에 대비했다. 이 지뢰밭은 "악마의 정원"이라는 별칭으로 불렸으며, 88mm 대전차포와 소형 화기의 엄호를 받았다. 비록 연합군이 승리했지만, 전차의 절반 이상을 잃었고, 이 중 20%는 지뢰로 인한 손실이었다.

 

소련은 핀란드와의 겨울 전쟁을 통해 지뢰의 군사적 가치를 실감했고, 독일의 침공에 대비하여 대규모 지뢰 생산과 매설에 나섰다. 전쟁 중 소련은 약 6,700만 개 이상의 지뢰를 생산했다. 특히 쿠르스크 전투에서는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약 100만 개 이상의 지뢰를 8개 벨트로 구성된 방어선에 매설했다. 이 방어선의 깊이는 총 35km에 달했으며, 이는 전투의 결과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냉전기

냉전 기간 NATO 회원국들은 소련의 대규모 기갑 공격에 대비해 방어 전략을 강화했다. 특히 서독 국경을 따라 광범위한 지뢰밭을 설치하는 계획이 세워졌으며, 새로운 형태의 지뢰도 개발되었다. 영국군은 대전차 지뢰 MK.7을 설계했는데, 이 지뢰는 첫 번째 접촉이 아닌 두 번째 접촉 시 폭발하여 롤러와 같은 탱크의 지뢰 제거 장비를 파괴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폭발이 0.7초 지연되어 탱크가 지뢰 바로 위에 있을 때 폭발할 수 있도록 했다. 영국은 이와 함께 최초의 산란식 지뢰인 No. 7 ("Dingbat")도 개발했다.

 

미군은 M6 대전차 지뢰를 비롯해 인계철선으로 작동되는 대인 지뢰인 M2 M16을 사용했다. 특히 M16은 도약 지뢰로서, 목표를 향해 도약한 후 폭발하면서 파편을 살포하는 방식으로 작동했다.

 

한국 전쟁에서는 지형적 특성 때문에 지뢰의 사용이 중요해졌다. 한국의 가파른 산악 지형, 좁은 계곡, 울창한 숲, 그리고 제한된 도로망은 탱크의 효율성을 크게 제한했고, 지뢰가 이를 저지하는 데 효과적인 무기가 되었다. 그러나 도로 근처에 매설된 지뢰는 비교적 쉽게 발견될 수 있는 약점이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은 M24를 개발했다. 이 지뢰는 인계철선이 작동되면 로켓을 발사하는 방식으로 목표를 공격했다. 하지만 M24는 한국 전쟁이 끝날 때까지 배치되지 못했고, 실전에 사용되지 않았다.

 

기타

1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은 영국에 의해 "Yperite Mine"이라는 별칭으로 불린 장치를 개발했다. 이 장치는 버려진 참호와 벙커에 설치되었으며, 지연 장약에 의해 폭발하면서 겨자 가스(Yperite)를 퍼뜨렸다. 2차 세계 대전에서는 현대 화학 지뢰의 전형인 Sprüh-Büchse 37을 개발했지만, 실전에 사용되지는 않았다. 미국은 1939년에 겨자 가스를 사용하는 M1 화학 지뢰를 개발했으며, 1960년대에는 VX 신경작용제를 사용하는 M23을 개발했다. 소련 역시 "화학 도약 지뢰"로 불리는 KhF를 개발했고, 프랑스와 이라크 또한 화학 지뢰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라크는 쿠웨이트 침공 이전에 화학 지뢰를 비축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1997년 화학무기금지협약(Chemical Weapons Convention, CWC)이 발효되면서 화학무기 사용이 금지되고 보유된 무기의 폐기가 의무화되었다. 이 협약에 따라 20237월까지 신고된 화학무기 비축량은 모두 폐기되었다.

 

냉전 기간, 미국은 이른바 "핵 지뢰"라 불리는 핵 파괴 탄약(Nuclear Demolition Munitions)을 개발했다. 이들은 손으로 설치할 수 있는 휴대용 핵폭탄으로, 원격 또는 타이머로 폭발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무기 중 일부는 유럽에 배치되었으며, 서독, 터키, 그리스 정부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공격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핵 지뢰밭을 원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치적, 전술적 문제로 인해 실현되지 않았으며, 1989년에 이러한 무기 중 마지막이 퇴역했다.

 

영국 역시 독일에 배치할 핵 지뢰를 개발하기 위해 Blue Peacock이라는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이 프로젝트는 핵 지뢰를 설치해 적군의 진격을 저지할 목적으로 기획되었으나, 환경적 및 정치적 우려로 인해 1958년에 취소되었다.

 

지뢰의 특성

재래식 지뢰는 대부분 주 장약으로 채워진 외피로 구성됩니다. 압력판과 같은 발사 메커니즘이 있습니다. 이것은 기폭 장치 또는 점화기를 격발하여 부스터를 시작합니다. 취급 방지 장치에는 추가 발사 메커니즘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격발 원리

지뢰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작동되며, 그 설계와 기능은 기술 발전에 따라 정교해지고 있다. 대인 지뢰는 보통 사람의 발이 가하는 압력을 트리거로 사용하지만, 인계철선이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대전차 지뢰는 차량의 타이어나 궤도가 직접 닿지 않더라도 자기 방아쇠를 사용해 폭발하는 경우가 많다. 최신 기술을 적용한 일부 고급 지뢰는 내장된 시그니처 카탈로그(피아 식별 체계)를 통해 아군과 적군의 차량을 구분하며, 이를 통해 아군은 광산 지역을 통과하면서도 적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지뢰는 적군의 해체 작업을 어렵게 만들기 위해 다양한 방아쇠 메커니즘을 결합한다. 예를 들어, 주 방아쇠와 터치 또는 틸트 방아쇠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지뢰 탐지를 방해하기 위해 금속 사용을 최소화하고,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비금속 지뢰는 금속 탐지기에 잘 발견되지 않고, 제작 비용도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현대 지뢰 중 일부는 분쟁이 끝난 후 민간인 피해를 줄이기 위해 자폭 메커니즘을 포함하거나 몇 주 또는 몇 달 후에 화학적으로 비활성화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이러한 메커니즘은 절대적으로 신뢰할 수 없으며, 역사적으로 설치된 많은 지뢰는 이러한 기술적 장치 없이 매설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지뢰는 밟은 상태에서는 작동하지 않고, 발을 떼었을 때 폭발한다는 잘못된 인식이 존재한다. 이는 영화나 소설 등 허구적 묘사에서 비롯된 오해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지뢰는 발로 압력을 가하는 순간 폭발하도록 설계되어, 민간인과 병사들에게 치명적인 위협을 가한다.

 

그러나 특정 지뢰, 예를 들어 MS3와 같은 압력 방출식 지뢰는 밟고 있는 동안에는 폭발하지 않고, 발을 떼는 순간 작동한다. MS3는 주로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우크라이나에서 발견된 바 있다. 이처럼 특수 설계된 지뢰는 심리적 공포를 유발하며, 전장에서 적의 이동을 더욱 제한한다.

 

지뢰의 설계와 운용은 그 파괴력뿐만 아니라 전쟁 이후 남겨질 위험과 장기적 영향을 함께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다.

 

조작 방지 장치

조작 방지 장치(Anti-Handling Device, AHD)는 지뢰 제거 작업을 방해하거나 제거자를 사상시키기 위해 설계된 장치로, 누군가가 지뢰를 들어 올리거나 이동시키거나 무장 해제하려고 할 때 폭발하도록 만들어졌다. 이 장치는 지뢰밭 제거 시도를 억제하고 전장에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주요 방어 메커니즘 중 하나다.

 

구조 및 기능

  • 퓨즈 포켓(Fuse Pocket): 일부 지뢰는 표준 풀 트랩 또는 압력 해제 트랩과 같은 추가 발사 장치를 나사로 고정할 수 있는 선택적 퓨즈 포켓을 갖춘다. 이를 통해 기존 지뢰에 조작 방지 장치를 추가할 수 있다.
  • 내장형 설계: 현대의 대인 및 대전차 지뢰 설계에서 AHD는 필수적인 부분으로 통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PMN-3 대인 지뢰는 조작 방지 장치를 기본적으로 포함한 설계다.
  • 부비트랩 효과: 일부 지뢰는 외관상 표준 설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지뢰 제거자를 목표로 특별히 설계된 부비트랩 기능을 갖춘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PMN 지뢰의 MC-3 및 PMN-3 변형이 있다.

 

전술적 목적

  • 조작 방지 장치는 지뢰밭 제거의 난이도를 크게 높인다. 지뢰 제거자는 지뢰를 단순히 들어 올리거나 무장 해제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못하고, 현장에서 지뢰를 폭파하여 제거하도록 강제된다. 이는 제거 시간과 자원을 대폭 증가시키며, 전쟁터의 심리적 억제 효과를 극대화한다.

 

지뢰 제거와 대응

조작 방지 장치로 인해 지뢰 제거 작업은 더욱 위험해진다.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지뢰는 표준 지뢰 제거 절차를 따르지 못할 경우 제거자가 심각한 위험에 처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대응 절차가 필수적이다:

  • 현장 폭파: 안전하게 접근할 수 없는 지뢰는 제거하지 않고 현장에서 폭파시킨다.
  • 전문 탐지 장비 사용: 비금속 지뢰 및 조작 방지 장치가 설치된 지뢰를 탐지하기 위해 정교한 장비가 사용된다.
  • 원격 폭발: 인간 제거자가 직접 접근하지 않고, 로봇이나 드론을 이용한 원격 폭발이 권장된다.

 

지뢰의 유형

대인 지뢰 (AP / Anti-Personnel Mine)

  1. 목적: 보병과 같은 개인을 목표로 하며, 주로 살상이나 부상을 가하는 것을 위해 설계.

폭압형 (Blast Mine)

  • 특징: 발 아래에서 폭발하며, 신체 일부를 절단하거나 심각한 부상을 입힘.

대표적 지뢰

  • PMN-1/PMN-2: 러시아산 폭압형 지뢰. 설계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해 많은 분쟁 지역에서 사용.
  • M14: 미국의 소형 폭압형 지뢰.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금속 탐지기로 탐지하기 어려움.

 

파편형 (Fragmentation Mine)

  • 특징: 폭발 시 파편을 넓은 범위로 분산시켜 상해.

대표적 지뢰

  • M16 도약 지뢰: 폭발 시 공중으로 튀어올라 허리 높이에서 폭발, 파편을 뿌리는 방식으로 작동.
  • POMZ-2: 소련제 파편형 지뢰. 나무 말뚝에 장착되어 사용.

대전차 지뢰 (AT / Anti-Tank Mine)

  1. 목적: 차량, 특히 탱크와 장갑차를 파괴하거나 무력화하는 데 사용.

폭압형 (Blast Mine)

  • 특징: 차량의 무게로 압력을 가하면 폭발.

대표적 지뢰

  • TMA-5: 구 유고슬라비아에서 제작된 대전차 지뢰.
  • M15: 미국제 대전차 지뢰로, 대형 폭약을 사용.

 

자기 감응형 (Magnetic Mine)

  • 특징: 차량의 금속에 반응하여 폭발.

대표적 지뢰

 

  • FFV 028: 스웨덴제 자기 감응형 대전차 지뢰.
  • TM-62M: 러시아제 자기 감응형 지뢰.

 

살포식 지뢰 (Scatterable Mine) = FASCAM

  • 목적: 대규모 지역에 빠르게 살포하여 적의 이동을 차단함.

지상살포식 지뢰 (Ground-Emplaced Mine Scattering System; GEMSS)

  • 특징:헬리콥터, 차량, 로켓포 등을 통해 살포.

대표적 지뢰

  • GATOR 시스템: 미국제 살포 지뢰 시스템.
  • MIFF 시스템: 독일제 지뢰 살포 장치.

 

공중살포식 지뢰 (Air-Dropped Scatterable Mine)

  • 특징: 항공기를 통해 살포되며, 빠르게 광범위 지역을 커버.

대표적 지뢰

  • BLU-42: 베트남 전쟁 당시 사용된 미국의 공중 살포 지뢰.
  • POM-1S AP: BLU-42 소련판

 

원격 대장갑 지뢰 체계 (Remote Anti-Armor Mine System; RAAMS)

  • 특징: 155mm 곡사포(M109, M198, M777) 사격을 살포. 

대표적 지뢰

  • M718 / M718A1(RAAMS-L): 48시간 내 자폭
  • M714 / M714A1(RAAMS-S): 4시간 내 자폭

 

야포 발사식 대인 지뢰 (Area Denial Artillery Munition; ADAM)

  • 특징: 야포, 곡사포를 통해 살포되는 대인 지뢰 살포 체계.

대표적 지뢰

  • M67: 48시간 내 자폭. 1-2m 도약하여, 900m/s로 폭발하는 600여개 파편을 생성함.
  • M72: 4시간 내 자폭. 1-2m 도약하여, 900m/s로 폭발하는 600여개 파편을 생성함.

 

 모듈식 지뢰 체계 (Modular Pack Mine System; MOPMS)

  • 특징: 인원 조작형 AT, AP 지뢰 체계. 17개의 M78 대전차지뢰와 4개의 M77 대인지뢰가 혼합 장입되어 있음.

대표적 장치

  • M136: M131과 형상이 동일하나 교육용 비활성 디스펜서로 발사 송수신 표시등이 설치되어 있음.

기계수뢰 (Naval Mine)

  • 목적: 해상 및 수중에서 적 함정이나 잠수함을 목표로 함.

부유 기뢰 (Drifting Contact Mine)

  • 특징: 물 표면 근처에 떠 있으며, 충돌 시 폭발.

대표적 기뢰

  • Mark 6: 미국의 표준 해양 지뢰.

 

침저 기뢰 (Bottom Mine)

  • 특징:바닥에 놓여 있으며, 자기 감응 또는 음향 감응으로 작동.

대표적 기뢰

  • CAPTOR: 미국제 음향 감응 기뢰.

특수 지뢰 (Specialized Mine)

  1. 목적: 특정 상황이나 임무에 맞춰 설계된 지뢰.

도약 지뢰 (Bounding Mine)

  • 특징: 폭발 전에 공중으로 뛰어올라 높은 범위에서 피해를 줌.

대표적 지뢰

  • S-지뢰: 독일제 도약 지뢰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유명.

 

화학 지뢰 (Chemical Mine)

  • 특징: 폭발 시 화학 물질을 분산.

대표적 지뢰

  • M23: 미국제 VX 신경작용제를 사용하는 화학 지뢰.

 

핵 지뢰 (Nuclear Mine)

  • 특징: 소형 핵탄두를 포함하여 대규모 파괴를 목표로 함.

대표적 지뢰

  • Blue Peacock: 영국이 개발한 핵 지뢰(프로젝트 취소).

 

 

'CBRNe > UXO'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NE "ACEATM"  (0) 2024.11.19
MINE "AC NM AE T1"  (1) 2024.11.19
MINE “Ababil-600 (ابابیل-ششصد)”  (1) 2024.11.18
MINE “1A”  (1) 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