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리저리 자료를 찾다 보니 재미있는 것들이 있어 공유함 대한의사학회 제30권 제3호 (통권 제69호), 2021년 12월흑사병의 서유럽 전파에 관한 오해와 왜곡: 무시스의 기록을 중심으로남종국,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양 중세사 전공)DOI: 10.13081/kjmh.2021.30.465 페스트균의 무기화 관련 역사를 찾다보면 흔히 발견하는 것이, 1346년 몽골군이 제노바 상인들이 점유한 카파 항구를 포위하는 과정에서 페스트균에 감염된 시체를 공성무기로 투척했다는 것일 것이다. 이 기록은 1448년 제노바 출신의 역사가 가브리엘레 데 무시스 (Gabriele de Mussis)가 기록한 《Historia de Morbo sive Mortalitate quae fuit Anno Domini ..
이전 글 → 2024.12.17 - [CBRNe/References] - 페스트균 Yersinia pestis 1부페스트균의 무기화페스트균(Yersinia pestis)은 높은 전염성과 치명률로 인해 생물학적 무기로 활용될 가능성이 오래전부터 제기되었다. 실제로 역사적으로 페스트균은 군사적 또는 테러 목적으로 사용된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현대 보건 및 안보 정책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역사적 사례이탈리아의 역사가 가브리엘레 데 무시스(Gabriele de Mussis)의 저술 중에는 중세 시대, 몽골군이 1346년 크림 반도의 카파(Caffa, 현재의 페오도시아)에서 일어난 전투에서 페스트균에 감염된 시체를 공성전에서 투석기로 적의 요새에 던지는 방식으로 병원체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참고: 남종..
페스트균(Yersinia pestis)은 그람 음성 간균으로서 고대부터 현대까지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 병원체이다. 이 균은 흑사병(Black Death)으로 알려진 중세 유럽 대유행을 비롯해 여러 차례 대규모 전염병의 원인이 되었으며, 벼룩을 매개체로 설치류에서 인간으로 전파된다. 현대 의학에서는 페스트를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개발되었으나, 감염 예방과 신속한 대응이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최근에는 생물학적 무기화 가능성으로 인해 페스트균에 대한 연구와 관리는 보건 및 안보 측면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관련된 역사페스트균(Yersinia pestis)은 인류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전염병 중 하나인 흑사병(Black Death)을 일으킨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흑사병은 14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