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화학물질은 만들어지고 소비되는 과정에서 우리의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누구나 할 것 없이 우리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늘 접하면서 살아간다. 이런 물질을 사용함에 있어 어떻게 사용에 주의할 점과 어떤 유해를 가할 수 있는지 인지시키기 위해 구축된 체계가 바로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 (GHS;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이다. 국적과 언어에 상관없이 만인을 대상으로 하기에는 그림문자 만한 것이 없다고 본다. 현재는 정보의 발달로 화학물질을 분류/표기하는 데 있어 대부분 공통화되어 있으나, 이 사항을 다루기 시작한 90년대에는 그렇지 않았다고 한다. 1992년 개최된 유엔환..
주의! 잔인(할 수 있는)한 사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갈아엎을 예정 앞서 이야기했던 신경작용제에 이어 다른 작용제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화학작용제라는 것은 앞서 언급했다시피 군사 작전에서 사람에서 상해를 주거나 무능화시키는 화학물질입니다. 화학작용제에는 인명 살상용으로 개발된 신경·질식·혈액작용제도 있지만, 인력을 무능화시키는 수포·최루작용제도 있습니다.수포작용제 (Blister / Vesicant Agent)이 작용제는 노출·호흡 시 표면에 수포를 발생시키는 것이 특징인 세포독성 알킬화 화합물입니다. 흡입할 경우 기도와 폐 등 호흡기관에 심각한 통증과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수포작용제는 크게 황 겨자(Sulfur Mustard; H, HD, HT)와 질소 겨자(Nitrogen Must..
* 주의! 잔인(할 수 있는)한 사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갈아엎을 예정) 2019년 방영했었던 Netflix 드라마 지정생존자(Designated Survivor) 시즌 3에서 FBI 요원 Hannah Wells가 용의자를 추적하던 중에 화학 물질에 노출되어 사망하는 장면이 연출되었습니다. 이때 사용된 물질은 VX로, 신경계통에 손상을 주고 결과적으로 사망에 이르게 하는 작용제였죠.1994년 05월 09일, 옴진리교의 수장 아사하라 쇼코(麻原彰晃)의 지시를 받은 간부 구성원들이, 옴진리교 피해 대책 변호단에 소속해 단체 구성원에 대한 카운슬링 활동도 실시하고 있던 변호사를 살해할 목적으로 변호사가 소유한 자동차의 프런트 윈도 언더 패널의 홈 및 그 부근에 사린 용액을 떨어뜨리고, 그 후 자동차를 운전..
화생방 제독(CBRN Decontamination)은 화학, 생물학, 방사선 및 핵으로부터 인체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과업이다. 이러한 물질들은 전쟁과 테러 상황에서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효과적인 제독이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필수불가결하다 할 수 있겠다.화생방 제독의 주요 목적은 오염된 인원과 장비, 지역의 오염을 제거하여 추가적인 피해를 방지하고, 안전을 확보, 인명을 보호하고, 오염된 환경의 복구를 지원하는 것에 있다. 화학, 생물학 작용제 또는 독성 산업 물질 오염 및 누출의 경우에는 '제독', 핵 무기 사용을 비롯해 핵 물질 누출, 방사능 오염 제거의 경우는 '제염'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제독은 통상 중화(화학적 처리)와 물리적 제거로 나눌 수 있다. 중화, ..